XREAL
Vision
🎼

클래식을 VR로 어떻게 경험할 수 있을까?

이번 아티클을 읽을 때는 아래 첨부된 링크들을 들어보시면서 즐기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클래식은 가장 오랫동안 유행하고 있는 장르다

“클래식 음악은 단순히 하나의 장르가 아닙니다. 이는 인간의 창의성이 펼쳐지는 무한한 우주로, 화음의 시작부터 바로크 시대의 과잉, 낭만주의 시대의 방종, 그리고 규칙이 깨지던 20세기까지 거의 1000년에 걸쳐 이어져 왔습니다.“ - Apple Music Classical Hit 설명글 중 일부
2024년 기준, Spotify에는 약 1억 개의 음악이 있으며, 그중 약 2%인 200만곡 정도가 클래식 음악으로 분류됩니다. 클래식 음악은 9세기 초부터 현대에 이르러서도 작곡되고 있고, 현대 음악, 특히 앰비언트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앰비언트 음악은 공간을 채우는 소리를 강조하는 배경음악입니다. 20세기 초 프랑스 작곡가 에릭 사티(Erik Satie)의 음악은 반복적이고 간결한 멜로디로 편안한 분위기가 특징인데, 이는 현대 앰비언트 음악에 영향을 줘 그는 앰비언트 음악의 선구자로 여겨집니다. 사티의 작업은 클래식 음악의 전통을 벗어나 음악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했습니다. 이처럼 클래식 음악은 다양한 장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림 1 : 클래식 음악을 듣는 청취자의 나이 분포 (출처 : MIDIA Research)
그렇다면 이러한 클래식 음악에는 어떤 연령층의 청취자들이 있을까요? 2019년 스트리밍 서비스 Deezer, 영국 음반 산업회(BPI),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클래식 음악 스트리밍 이용자 중 34%가 18~25세였으며, 35세 미만 청취자는 10년 전에 비해 17% 증가했습니다. 추가로, MIDIA Research가 8개국(미국, 한국 외 6개국)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 조사에서 클래식 음악 청취자의 평균 연령은 45.6세였으며, 35세 미만 청취자 비율이 약 3분의 1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통계들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편화로 클래식 음악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젊은 층의 클래식 음악 청취가 증가했음을 시사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장르를 탐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위기 기반 플레이리스트와 알고리즘 추천 등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음악을 접할 수 있게 해주어 클래식 음악 청취자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림 2 : KBS교향악단 2024 마스터 시리즈 홍보영상[1] 의 썸네일
최근에는 스트리밍 서비스 외에도 SNS를 통해 클래식 음악을 소개하는 콘텐츠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KBS 교향악단 유튜브 채널은 위 그림2와 같이 밈을 활용한 공연 홍보와 정보 제공을 하고 있으며, '하루하나클래식' 인스타그램 계정은 정기적인 피드와 릴스를 통해 클래식 음악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젊은 세대들도 클래식 음악을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점차 젋은 청취자가 증가하고 있는 클래식 음악만의 특징들을 정리해보고, 이러한 특성들을 VR 분야에서 진행된 연구와 연계해 클래식 음악 경험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해보고자 합니다.

클래식 음악은 시간의 음악이다

“같은 곡이라도 연주자, 지휘자에 따라서 시간 차이가 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그리고 모든 연주가 그렇듯이 시간예술이기 때문에 반복 재생이 안됩니다. “ -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클래식을 즐기는 방법은 크게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음반이나 LP를 사용한 녹음된 음반을 오프라인으로 구매해서 듣는 방식, 두번째는 유튜브 뮤직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나, IDAGIO 같은 클래식 전용 음악 앱을 통해 음악을 듣는 방식, 마지막으로 직접 공연장에 가서 듣는 형식이 있습니다. 3가지 방식은 서로 다른 장단점들이 있지만, 그들이 듣는 음악은 지휘자, 연주자 (또는 오케스트라)에 따라서 곡의 속도, 악기의 구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공통점입니다.
그림 3 : 프랑스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
대표적인 예로 프랑스 작곡가 모리스 라벨이 1928년에 작곡한 '볼레로(Boléro)'를 들 수 있습니다. 이 곡은 일정하게 반복되는 작은 북의 볼레로 리듬을 바탕으로, 플루트와 클라리넷 등 관악기의 독주로 시작해 점차 여러 관악기의 협주를 거쳐 마지막에는 관현악단 전체의 합주로 발전하며 소리의 깊이가 점점 깊어집니다. 비교적 최근에 작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볼레로'는 현대 음악의 미니멀리즘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매체의 BGM과 OST로 활용되는 등 그 작품성을 인정받는 명곡입니다.
라벨은 1931년 한 신문에서 "이 곡은 17분이 적당한 연주 시간이다[2]"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녹음 및 실제 공연에서는 대부분 15~16분대로 빠르게 연주[3]되며, 지휘자에 따라 13분 30초에서 18분까지 다양합니다. 심지어 현대 거장 지휘자인 레너드 번스타인도 같은 곡을 14분대 초반과 16분으로 서로 다르게 연주했습니다. 이는 지휘자의 곡 해석 성향에 따른 것으로, 클래식 애호가들은 작곡가 뿐 아니라 지휘자, 연주자, 연주 날짜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음악을 선택합니다. 이러한 선택의 이유는 음악이 녹음되고 연주된 그 순간에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의 말처럼, 그날의 지휘자와 연주자가 만들어낸 순간적인 아름다움이 클래식을 시간의 음악이자 독특한 예술로 만드는 것입니다.

클래식 음악은 공간의 음악이다

“Music is organized Sound. “ - 에드가르 바레즈
위 단락에서 언급한 클래식 음악을 즐기는 방법 중 가장 돈이 많이 들지만, 가장 선명하게 들을 수 있는 방법은 직접 들으러 가는 경우인데요. 흥미로운 점은 동일한 곡이라도 다른 공간에서 연주될 때 청취 경험이 크게 달라진다[4]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전혀 새로운 곡을 듣는 듯한 신선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림 4.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클래식 공연 애호가들은 곡의 특성과 공연장에 따라 선호하는 좌석이 다양합니다. 서울의 대표적인 클래식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을 예로 들면, 3,022석 규모의 대극장은 1층 C구역 B, D열 중앙이 인기가 높습니다. 피아노 연주회의 경우, 연주자의 손동작을 잘 볼 수 있는 1층 B열이 특히 선호됩니다. 음향을 중시하는 마니아들은 2층 C, D, E열 앞 구역을 최고의 자리로 꼽습니다. 이러한 세심한 선택을 통해 관객들은 각자 고유한 경험을 하며, 같은 곡이라도 마치 새로운 곡을 듣는 듯한 신선한 감동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림 5: 프랑스 작곡가 에릭 사티(왼쪽)과 미국 작곡가 존 케이지(오른쪽)
20세기 일부 작곡가들은 공간을 고려하여 작곡했으며, 여기에는 대표적으로 에릭 사티[5]와 존 케이지[6]가 있습니다. 이들은 기존의 대규모 공연장에서의 공연 목적으로 만들어진 웅장한 소리와 화려한 악기 구성 등에 회의감을 느껴, 단순하고 최소화한 음계를 중심으로 작곡해 소규모 공연장에서의 연주를 주 목적으로 했습니다. 에릭 사티는 특히 독일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음악사조를 거부하고, 자신의 음악을 '가구음악'이라 칭하며, 집안 등 아늑한 공간에서 편하게 들을 수 있어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20세기 말, 이런 흐름은 실험적으로 발전해, 공간 전체에서 발생하는 소음까지도 음악의 일부로 받아들이기 시작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유명한 존 케이지의 "4분 33초[7]"입니다.
이처럼 클래식 음악은 공간을 통해 완성되기도 하고, 공간을 고려해 탄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클래식 음악을 '공간의 음악'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VR 클래식 경험을 위해 앞으로 필요한 것은?

앞서 우리는 클래식 음악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을 분석했고,이번 단락에서는 VR을 통한 클래식 음악 경험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그러면 VR 상에서 클래식 음악의 특징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요? 최근에는 VR 내 상호작용 연구는 기존의 터치 입력을 통한 인터랙션 이외에 청각이나 촉각을 포함한 다중 감각적 피드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VR에서의 다양한 피드백 구현을 위해 진동 기반 햅틱 피드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그림 8 : 소니 VR Headset & Controller
클래식의 시간적인 특성은 어떻게 VR에서 구현할 수 있을까요? 먼저, Sony VR의 Controller 같이 현악기의 활이나 팀파니의 말렛 같은 특수 컨트롤러를 개발하여 실제 연주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고, 지휘 체험을 위해서는 진동 기능이 있는 지휘봉 형태의 컨트롤러를 제작하여 프로그램과 연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이를 통해 클래식 음악의 시간성을 체감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다양한 미션과 과제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직접적인 상호작용 요소와 소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 참여와 공동체 경험을 증진시키고, 최근 증가하는 소셜 VR 트렌드를 활용하여 VR 기반의 클래식 음악 커뮤니티 플랫폼 구축도 고려해볼 만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클래식 음악의 시간적 특성을 VR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에게 풍부하고 몰입도 높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림 9: 롯데콘서트홀 1층 C구역 9열 뷰를 보여주는 VR (출처 : 롯데콘서트홀 공식 홈페이지)
클래식의 공간적인 특성은 어떻게 VR에서 구현할 수 있을까요? 현재 서울 롯데콘서트홀의 특정 구역 뷰를 체험할 수 있는 PC VR 프로그램이 있는데, 여기에 공간 디자인과 공간 음향 요소를 추가한다면, VR 환경에서 클래식 음악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공연장 내 위치에 따른 차별화된 음향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동일한 음악이라도 좌석 위치에 따라 다르게 들리는 현상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실제 공연장의 간접 체험과 클래식 음악의 공간적 특성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이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 각국의 유명 콘서트홀을 가상으로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나, 과거 특정 시기에 연주된 곡을 재현하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클래식 음악 감상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 전반부는 클래식이라는 음악이 얼마나 입체적인지를 두 가지의 기준으로 정리를 했고, 후반부는 클래식 음악의 특성을 반영해, 어떤 방식으로 VR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이 좋을지 간단하게 제안했습니다. 물론 현재의 HMD 내 스피커로는 실제로 듣는 것 만큼의 해상도가 나오지 않아 지금 당장에는 무리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 스피커 및 공간 음향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위의 글이 불가능한 일은 아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이번 아티클을 통해서 클래식이라는 음악의 매력을 느껴보고, 클래식 뿐 아니라 음악 자체를 어떻게 VR에서 구현해볼 수 있을지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작성자: XREAL 신영환

Appendix

A. 음악 링크

B. 참고문헌

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 | 400년이 넘게 유행하는 유일한 음악. 도대체 왜? | KBS 다큐인사이트 230126 방송
#다큐인사이트#마에스트로#K-클래식 ▶ 세계적 지휘자 피에타리 잉키넨이 안내하는 클래식의 세계 KBS교향악단과 도이치 방송 교향악단, 재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교향악단을 이끌고 있는 젊은 지휘자 피에타리 잉키넨이 프리젠터가 되어 한국은 물론 독일, 일본에서 클래식과 지휘에 대한 숨은 이야기를 전한다. 피에타리 잉키넨은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영국 BBC 프롬스와 더불어 세계 3대 클래식 축제로 꼽히는 독일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 초청된 지휘자다.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은 독일의 작곡가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만을 축제 기간 동안 공연하는 바그너 음악 축제로 그만큼 피에타리 잉키넨은 바그너 스페셜리스트이기도 하다. 그가 이끄는 각 나라의 교향악단이 갖는 연주 특색을 비교해 보는 숨은 재미도 느껴본다. 뿐만 아니라 아파트 상가 내에 있는 피아노 학원까지 직접 찾아 외국인의 시선으로 한국 클래식 음악의 저력이 되는 원천을 만나 21세기 클래식의 방향을 얘기한다. ▶ 지휘봉 때문에 죽은 지휘자가 있다! 왜? 음악은 시간의 예술이고, 지휘자는 시간을 통제하는 사람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세계적인 마에스트로인 정명훈과 요엘 레비, 키릴 카라비츠 등이 그 이유를 재밌는 비교를 통해 이야기하고 우리가 낯설게 느끼는 클래식과 지휘의 세계에 대해 흥미진진하게 전한다. 초기의 지휘 형태는 지금과 달랐고, 당시 죽은 지휘자도 있다고 하는데 그는 왜 죽었을까? 언제부터 지금과 같은 지휘자가 생겨났을까? 지휘할 때 지휘자의 오른손과 왼손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리고 클래식이 수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클래식에 대한 수많은 궁금증을 '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에서 파헤쳐 본다. ▶ 클래식의 세계화, 그 중심에 선 한국의 젊은 연주자들!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최연소 우승한 피아니스트 임윤찬. 한국인 최초로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우승한 양인모,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를 석권한 첼리스트 최하영 등 한국 연주자들의 국제 콩쿠르 우승 소식이 끊이지 않았던 2022년 한 해였다. 완벽한 테크닉, 풍부한 표현력을 겸비한 한국의 젊은 연주자들이 수많은 사람들을 클래식 음악의 세계로 새롭게 이끌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놀랍게도, 모두 어렸을 적 동네 음악 학원에서 시작해 세계적 음악가가 됐다는 것이다. 전 세계가 입을 모아 극찬하는 한국 클래식 연주자들의 특징과 그들을 만들어낸 한국 클래식 교육체계 등을 통해 본래 서양의 것이었던 클래식을 한국인들만의 감성과 음악적 기술로 21세기 클래식 문화를 이끌어가고 있는 이유를 알아본다. 그리고 어느 다큐에서도 보기 힘든, 영원히 그치지 않아도 좋을 정도의 신들린 임윤찬의 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 3번은 물론이고 선우예권, 양인모 등 한국을 대표하는 젊은 연주자들과 한국을 대표하는 KBS교향악단의 연주를 TV 앞 1열 최고의 좌석에서 감상하며 클래식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될 것이다. ▶ 시대를 이어가는 클래식! 미래의 마에스트로를 꿈꾸다 “어디에서든 악기를 훌륭하게 다루는 연주자들은 쉽게 볼 수 있지만 훌륭한 지휘자는 그에 비해 그 수가 적습니다 “ - 피에타리 잉키넨 / 지휘자 KBS교향악단과 피에타리 잉키넨은 청소년 지휘 마스터 클래스를 개최해 차세대 지휘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오디션을 통해 당당히 마스터 클래스에 선택된 중학생 박수현 양(15)은 잉키넨의 전문적인 지도 속에서 자신의 꿈에 한 걸음 더 다가서고 있다. 지휘는 결국 작곡가를 이해하고, 작곡가의 의도를 청중들에게 전달하는 사람. 지휘자의 손끝에서 흩어진 음들은 비로소 음악이 된다. 언젠간 세계적인 무대에 오를 날을 기대하며 부천아트센터 무대에서 마음껏 지휘를 펼치는데, 중학생 2학년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독보적인 무대가 시작된다. ▶ 클래식 애호가, 배우 김미숙이 '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 내레이션에 참여하다 KBS 클래식FM '김미숙 가정음악'에서 6년째 진행을 맡고 있는 배우 김미숙이 '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에서 명품 보이스로 클래식의 진정성을 더해줄 예정이다. 내레이션을 마친 후, “방송이 너무 기다려진다”라며 기대감을 더했다고 하는데, 수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한 배우 김미숙도 고대하는 '마에스트로: 클래식의 발견'. 클래식이 전하는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싶다면, 본방 사수하자.
Concert Hall Acoustics Design
Concert Hall Acoustics Design - Combination of Architecture, Psychology, & Engineering - Michelle Vigeant The successful design of concert halls is often a delicate balance between having innovative architecture and still achieving excellent hall acoustics. Many perceptual attributes contribute to the overall impression of excellent acoustics. For example, “reverberance” – the perception of sound lingering in a space, “clarity” – the degree to which you can distinguish between individual notes, and “envelopment” – the sense of being completely surrounded by sound. However, there is a gap in ou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se characteristics to the overall room acoustic quality. Researchers at Penn State are studying this topic to develop new design guidelines to improve future concert hall designs. Measurements have been taken in several regional halls and plans are underway to measure well-known hall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Using these measurements, listening tests are being conducted in a special listening facility on campus that has 30 loudspeakers that are installed in an anechoic (no-echoes) chamb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s and the listening tests are then evalua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hall shape and surface finishes on the acoustics. These results will ultimately inform future designs, which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cert experience for attendees and may also result in more cost-effective halls.